728x90 JavaScript4 Javascript - iframe의 history back(뒤로가기)에 대한 문제 및 해결방법 iframe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내의 iframe은 보통 다른 페이지 인데 이 페이지가 window.history에 기록되어 신경쓰이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데, 코드를 짜는데 번거롭게 할 뿐이다. 보통 이런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아래의 케이스와 같은 현상이 일어납니다. 부모창(ifame 열기 전) window.history = 1 부모창(ifame 오픈 후) window.history = 1 부모창(ifame 닫은 후) window.history = 2 즉, 페이지를 이동하지 않았지만 페이지 history상에는 iframe페이지도 history에 추가된다. 그리고 history상에는 iframe이 history로 기록되어 뒤로가기 할 경우 ifame페이지를 인식하게 된다. 브라우저 상에는 Back/Forw.. 2021. 9. 1. Javacript - 웹페이지에서 뒤로가기 방지 웹페이지에서 뒤로가기를 방지하려고 하는 경우 Script에 다음과 같은 소스를 작성해서 추가해보도록 하자! history.pushState(null, null, location.href); window.onpopstate = function (event) { history.forward(); }; 2021. 8. 13. Javascript - JSON 파싱, 문자열 변환처리 간단구현 JSON타입의 데이터를 제어할 경우에 JSON -> 문자열, 문자열 -> JSON을 왔다갔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Javascript에서 제공하는 JSON 내장함수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JSON.parse() JSON의 형태로 문자열을 파싱처리 합니다. 파싱 처리된 JSON값은 key, value형태 및 Array(배열)의 형태로 Javascript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Key / Value 케이스 var json_val = JSON.parse('{"one":1,"two":2,title:"number"}'); // 1 var one = json_val.one; // 2 var twojson_val.two; // number var number = json_val.tit.. 2021. 8. 2. Javascript - Hoisting(호이스팅)이란? Hoisting이란 JavaScript(이하 JS)에서 변수 선언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Hoist의 사전적 뜻으로는 감아올리기, 감아 올리는 장치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는데 ‘끌어 올리다’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Hoisting이 적용되는 대상은 var로 선언한 변수와 function입니다. 이 두 대상들은 함수를 선언하기 전에 호출해도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데 Hoisting에 의해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현상을 var hoisting(변수 선언 끌어올리기), Function declaration hoisting(함수선언 끌어올리기)라고 부릅니다. Hoisting을 공식 문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 호이스팅을 변수 및 함수 선언이 물리적으로 작성한 코드의 상.. 2021. 7. 7. 이전 1 다음 728x90